리뷰 네비게이션

의·약학 및 생물·화학공학에 관련된 복합적인
BT학문분야 인재를 육성

본문내용

교과목소개

  • 일반화학1(General Chemistry 1)
    물직의 특성,물질의 체계적 측정과 단위환산방법, 물질의 구조, 화합물의 조성과 화학결합이론을 공부하여 화학적 기초지식을 논리적으로 조직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화학반응 메카니즘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으로서 무질의 화학적 성질이나 변화과정에 관한 기반지식을 갖추게 된다.
  • 일반생물학1 및 실험(General Biology 1 and Experiment)
    생명체의 전반적인 기본 개념을 습득하기 위하여 세포생명의 원리, 유전의 원리, 진화의 원리, 생물의 다양성, 동식물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생태 및 행동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강의한다.
  • 일반화학2 및 실험(General Chemistry 2 and Experiment)
    물직의 특성,물질의 체계적 측정과 단위환산방법, 물질의 구조, 화합물의 조성과 화학결합이론을 공부하여 화학적 기초지식을 논리적으로 조직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화학반응 메카니즘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으로서 무질의 화학적 성질이나 변화과정에 관한 기반지식을 갖추게 된다.
  • 일반생물학2(General Biology 2)
    생명체의 전반적인 기본 개념을 습득하기 위하여 세포생명의 원리, 유전의 원리, 진화의 원리, 생물의 다양성, 동식물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생태 및 행동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강의한다.
  • 유기화학 및 실험(Organic Chemistry and Experiment)
    제약산업에 응용되고 있는 각종 유기화합물의 성질과 합성법 등에 관하여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유기화합물의 분류, 종류, 응용 분야 등에 관하여 강의한다.
  • 유전학(Genetics)
    유전현상의 다양성과 일반화된 유전 기작을 기초로 하여, 멘델 유전학, 돌연변이,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유전자 발현 조절, 발생관련 유전조절, 면역계의 유전적 조절과정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 제약물리화학(Physical Chemistry for Pharmaceutical Engineering)
    물리화학의 기초 지식을 교육하며 제제공학, 제약반응공학, GMP & Validation 등에 관련된 원리를 교육한다.
  • 제약공학개론(lntroduction to Pharmaceutical Engineering)
    제약산업의 역사와 발전과정 및 현황에 대하여 소개하고, 각종 의약품의 제조공정의 기초를 이해하도록 하며, 21세기 신약개발의 미래와 제약공학도의 역할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 해부생리학(Anatomical Physiology)
    생명체의 생리현상을 효율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생체물리학, 세포학, 물질의 이동, 혈액순환, 호흡, 소화, 내분비, 신경생리 등에 대하여 기초부터 응용까지 질병 및 건강유지와 관련하여 강의한다.
  • 제약분석학(Pharmaceutical Analytics)
    물질의 분석방법 및 원리를 이론적으로 다루는 학문으로 각종 분석법의 기본원리와 활용법 및 계산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전공심화과정의 밑거름이 되게한다. 중량분석, 용량분석, 중화적정, 침전적정 및 산화환원 적정법의 이론과 응용법을 공부한다.
  • 생화학1 및 실험(Biochemistry 1 and Experiment)
    생명체를 구성하고 있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핵산, 무기질과 비타민 등에 대하여 강의하고 이들의 분해 및 합성 대사와 호르몬에 의한 대사조절, 유전자의 발현 등에 대해 강의한다.
  • 미생물학 및 실험(Microbiology and Experiment)
    미생물학의 역사, 미세구조 및 기능, 분류, 미생물의 배양법, 살균 등에 관하여 강의하고, 미생물유전공학, 면역학, 항생물질학 등의 관련분야를 학습함과 동시에 각종 생리활성 물질 생산과정들에 대하여 공부한다.
  • 세포생물학(Cell Biology)
    세포의 물리화학적 특성, 세포기관의 미세구조와 기능, 세포분열 및 분화, 세포의 기능변화와 질병과의 관계, 세포간의 상호작용 및 신호전달과정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또한 줄기 세포의 종류와 특성, 질병치료용 줄기세포의 전망 등도 다룬다.
  • 제약자원생물학(Pharmacobiological Resources)
    제약산업에 활용되는 약용 동식물 및 미생물 자원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제약자원의 형태, 주요성분, 약효, 등을 알아보고 제약자원으로 활용되는 생물의 분포, 재배기술, 생약으로의 자원개발 등에 관하여 익힌다.
  • 의학미생물학(Medical Microbiology)
    각종 의학 미생물의 종류와 특성에 대하여 강의하고, 제약 산업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미생물과 질병관련 미생물에 대하여 심도 있게 공부한다.
  • 생화학2(Biochemistry 2)
    생명체를 구성하고 있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핵산, 무기질과 비타민 등에 대하여 강의하고 이들의 분해 및 합성 대사와 호르몬에 의한 대사조절, 유전자의 발현 등에 대해 강의한다.
  • 화장품학(Cosmetic Science)
    화장품의 종류, 제법, 성상, 적용방법 등에 관하여 강의하고, 화장품과 인체와의 관계, 생산 공정 및 품질관리에서부터 현대인의 욕구와 시장, 화장품산업의 미래에 관해서도 소개한다.
  • 제약공학 캡스톤 디자인(Pharmaceutical Engineering Capstone Design)
    제약공장의 합리적 배치와 경영방법 등을 알아보고 제약공장의 경영관리에 관한 가상상황을 통하여 현장감을 익히도록 하고 제약공장에서의 실습을 통하여 생산,품질관리 및 공장관리에 대한 실무를 익히도록 한다.
  • 제제공학1(Pharmaceutical Formulation Engineering 1)
    정제, 캅셀제, 산제 등의 고형제제 및 주사제, 액제, 시럽제 등의 액상제제를 설계, 제조함에 있어서 바탕이 되는 물리화학적 및 생물약제학적인 기본원리에 대해 강의하고, 각종 제제에 사용되는 부형제의 선택기준 및 응용에 대하여 강의한다.
  • 바이오제약공학(Bio-pharmaceutical Engineering)
    최근 급 부상하고 있는 항암제 등 바이오 신약개발과 관련하여 천연물 확보 표적 항암제 등과 같은 생물학적 의약품 개발에 관하여 학습한다.
  • 제제시험법(Pharmaceutical Dosage Form Analysis)
    의약품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의약품 제형에 대해 대한약전상에 규정되어 있는 각종 시험법들의 원리 및 방법을 습득하도록 한다.
  • 제약반응공학(Pharmaceutical Reaction Engineering)
    산업적 응용이 가능한 미생물배양, 반응속도론, 물질 양론 등을 기반으로 하여 살펴보고 회분식, 유가식, 연속식 배양법과 여러 가지 생물 반응기들의 원리와 조작 방법에 대하여 강의하여 제약 산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 화장품생산공정(캡스톤 디자인) Engineering for Cosmetics(Capstone Design)
    각종 화장품의 제조공정을 이해시키고 공장에서 진행되는 실질적인 공정을 익히도록 한다. 또한 새로운 유형의 화장품의 특성과 그 가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생산공정과 관리에 대하여 강의한다.
  • 제제공학2(Pharmaceutical Formulation Engineering 2)
    정제, 캅셀제, 산제 등의 고형제제 및 주사제, 액제, 시럽제 등의 액상제제를 설계, 제조함에 있어서 바탕이 되는 물리화학적 및 생물약제학적인 기본원리에 대해 강의하고, 각종 제제에 사용되는 부형제의 선택기준 및 응용에 대하여 강의한다.
  • 분자생물학 (Molecular Biology)
    DNA의 구조와 복제, 재조합, 돌연변이, 유전정보의 발현과 조절, 등에 관하여 강의하고, 세포수준에서의 구조 및 기능에서부터 분자수준에서의 유전물질과 그 대사산물의 조절 및 제어과정까지 강의한다.
  • 응용약물학(Applied Pharmacology)
    약물과 약물치료의 기본 원리를 갖춘 기초 위에 국소호르몬제제, 각종 화학요법제, 내분비계 작용약물, 항염증약물 등 보다 다양한 약물의 특성과 작용 기작에 대한 내용을 학습하도록 하여, 약물학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습득하게 한다.
  • GMP 및 Validation(GMP and Validation)
    의약품제조 및 품질관리 규정에 대하여 학습하고, 최적 의약품 생산에 관련된 생산관리에 관하여 익힌다.
  • 제약관련법규 및 특허(Pharmaceutical Laws and Patent)
    제약산업 전반의 특허물질 및 특허권에 대하여 강의하고, 제약공학 및 국민보건에 관련한 제반법규에 대하여 공부한다.
  • 분자의학 및 질병생물학(Molecular Medicine and Biology of Diseases)
    현대인의 건강위험인자, 만성질환, 노화 등에 관련된 질병에 대하여 분자수준에서 생물학적으로 이해하도록 하고, 질병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항산화제, 비타민 및 무기질, 호르몬보충, 뇌기능 개선제 등에 대하여 공부한다.
  • 약물전달공학 (Drug Delivery Engineering)
    약물의 약효를 최대화하면서 부작용은 최소화할 수 있는 약물전달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고려하여야 하는 생체측 인자와 제제학적인 인자들에 대해서 강의한다. 기존의 제제에 신개념이 도입된 약물전달시스템의 제조법에 대해 이해하도록 한다.
  • 품질관리학(Instrumental Analysis and Quality Control)
    품질관리의 기본원리 및 규정을 알아보고, 품질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각종 기기의 원리, 사용법 그리고 분석법에 대해서 강의한다.
  • 의약품제조학(Pharmaceutical Organic Chemistry)
    유전자조합, 세포융합, 단일클론 항체기술 등을 이용하여 제약공업에 필요한 새로운 고부가가치 물질을 개발하고 생산을 최적화하는 기술에 대해 강의한다.
  • 제약단위조작(Pharmaceutical Unit Operations)
    제약산업의 단위공정 이해와 운영에 필수적인 유체역학, 열전달, 분리공정 및 분체공학의 제반 이론과 원리에 대해 강의하여 공학자가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필수적 산업공정에 대한 기반기초지식을 함양하도록 한다.
  • 제약유전공학(Pharmaceutical Genetic Engineering)
    유전자조합, 세포융합, 단일클론 항체기술 등을 이용하여 제약공업에 필요한 새로운 고부가가치 물질을 개발하고 생산을 최적화하는 기술에 대해 강의한다.
  • 건강기능식품학(Nutraceutical Foods)
    건강기능식품의 기능과 역할에 대하여 강의하고, 생리활성 성분별 분류 및 응용, 신개념의 건강기능식품 개발, 건강기능 식품법 등에 관하여 익힌다.

리뷰 네비게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