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네비게이션

의·약학 및 생물·화학공학에 관련된 복합적인
BT학문분야 인재를 육성

본문내용

교과목소개

석사과정

생화학특론(Advanced Biochemistry)
생명체는 유기화합물의 복합체로 DNA, 단백질, 저분자 생리활성물질 같은 생체구성유기화합물의 화학적 성질과 이들이 생체에서 관여하는 반응을 분자적 수준에서 이해하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생물화학의 원리를 강의한다. 또한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분야의 최근 연구 결과들을 주제별로 선택하여 소개하고 토론한다.
미생물학특론(Advanced Microbiology)
의약품의 생산에 이용되는 미생물에 관한 최근의 지견과 진보에 대하여 강의함으로써특히 최근 의약품 및 유용활성물질 생산에 이용되는 진균류등에 대해 이해하도록 한다.
세포생물학특론(Advanced Cell Biology)
고등생물의 특징적 생명 현상을 담당하고 있는 세포들의 구조적 특징과 생리적 기능을학습하고 세포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의하여 유도된 세포 내 생화학적 신호전달경로, 세포주기의 분자생물학적 조절 기작을 이해한다. 또한 세포 내 분자들의비정상적 활성에 의해 유발되는 생체 질병의 원인과 분자 의약학적 치료에 관한 최근 연구 진보를 주제별로 소개하고 논의한다.
유전공학특론(Advanced Genetic Engineering)
유전공학적 방법과 응용에 역점을 두고 재조합 단백질의 대량생산, 항원항체반응을 이용한 진단시약의 개발, 백신제제 개발, 유전자조작 식품의 개발 및 검색 방법 등을강의한다.
면역학특론(Advanced Immunology)
생체방어기전으로서의 각종 면역 현상을 분자생물학적 관점에서 다루며, 최근 제약 및화장품 산업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아토피 치료제 개발 및 면역질환 관련 치료제개발등에 관하여 강의한다.
위생화학(Hygienic Chemistry)
미생물, 중금속, 화학물질, 환경오염물질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등을 이해함으로써의약품, 식품, 및 화장품 산업에 있어서의 위생관리의 원리와 과정을 알도록 한다.
물리화학(Physical Chemistry)
약 분야에서 활용되는 각종 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물질상호간의작용, 속도론, 산염기 완충계, 계면현상등의 이론을 강의한다.
제약통계학(Pharmaceutical Statistics)
제약산업분야 및 각 종 실험의 설계, 그리고 실험 데이터들의 처리를 위한 통계이론을강의하고, 각종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한 처리과정을 이해하도록 한다.
분자약물학(Molecdlar Pharmacology)
생리활성물질의 작용기전을 분자수준과 세포수준에서 설명하고 이해하도록 함으로서활성물질의 발굴 및 탐색을 위한 기초지식을 배양하도록 한다.
제약자원학특론(Advanced Pharmaceutical Resources)
제약분야에서 약리학적으로 활성을 가지거나 혹은 제약분야에서 부형제등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는 유용물질을 생산하는 각종 천연자원에 대해 강의하고, 이들로부터 천연소재를 탐색하여 개발하는 과정 등에 대해 알도록 한다.
분리정제법(Purification of Bioactive Agents)
각 종 자원으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을 분리, 정제하는 데 이용되는 여과, 추출, 크로마토그라피등의 방법에 대해 이해하도록 한다.
천연물분석학(Analysis of Natural Products)
천연식물, 동물 및 미생물 등으로부터 얻어진 천연물의 구조결정, 확인, 정량 등을 위한 분석법을 알도록 한다.
기능성식품분석학(Analysis of Functional Foods)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사용되는 각종 성분들에 대한 물리화학적인 특성 규명 및 규명 및 기준 및 시험방법에 대해 알도록 한다.
화장품분석학특론(Advanced Cosmetic Analysis)
화장품에 대한 품질 검사 및 기능성 평가를 위한 분석법에 대해 이해하고 활용할 수있도록 한다.
화장품제조학특론(Advanced Cosmetic Preparation)
새로운 화장품 처방을 설계하는 원리, 평가방법, 제조방법 및 보관법등에 대해 이해하도록 한다.
약물전달공학특론(Advanced Drug Delivery System)
새로운 제형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신개념의 약물전달시스템의 원리와 개발현황, 그리고 설계방법 및 제조 방법등에 대해 이해하도록 한다.
제제설계론(Formulation Design)
의약품 및 화장품, 그리고 식품 등의 제제 및 제형을 설계하는 원리와 과정 및 고려사항등을 이해하도록 하고, 이와 함께 사용되는 각종 부형제등의 물성에 대해서도 이해하도록 한다.
생물약제학(Biopharmaceutics)
의약품 및 각종 유효활성 함유 제제 설계에 있어서 고려해야 하는 약물과 생체측 인자들간의 관계, 약물의 물성과 체내에서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과정등에 대해서 이해함으로서 생체에 적용되는 제제설계를 위한 기초이론을 습득하도록 한다.
약물동태학(Pharmacokinetics)
생체내에서의 생리활성물질의 거동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속도론적 해석을 할 수 있도록 약물속도론 (pharmacokinetics)를 강의하고, 그 실험법을 알도록 한다.
제약나노공학(Pharmaceutical Nanotechnology)
의약품 및 각종 바이오물질에 대한 나노기술 활용에 대해 이해하고, 이에 대한 제조과정등에 대해 알도록 한다.
논문작성법(Scientific Article Writing)
연구논문을 한글 및 영문으로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강의하고, 실습하도록 함으로서국제화 시대에 부응하는 논문발표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반응공학(Reaction Engineering)
반응기의 종류 및 특성을 이해하고 공정에 따른 반응기 선택기준을 확립할 수 있도록반응속도에 대한 기본지식을 함양하고 반응공정인자들의 반응속도 및 효율에 미치는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반응속도론에 대한 기초이론을 강의한다.

박사과정

제약 및 화장품학 세미나(Seminars in Pharmaceutics and cosmetics)
제약 및 화장품 분야에서의 최근 산업동향, 규제동향, 연구개발 동향 등에 대해 세미나를하며, 관련 전문가를 초청하여 세미나를 한다.
바이오의약특론(Topics in Bio-Medicine)
바이오기술의 응용영역 확대 및 기술융복합화 추세에 부응하기 위한 다학제적 바이오의약의 현황과 최신 동향 및 바이오의약 산업 전반에 관한 다양한 주제들에 대하여 토론 하고 연구한다.
화장품제조 및 응용(Cosmetic Preparation and Application)
새로운 화장품 처방을 설계하는 원리, 평가방법, 제조방법 및 보관법등에 대해 이해하도록 한다.
응용 미생물학(Applied Microbiology)
의약품의 생산에 이용되는 미생물에 관한 최근의 지견과 진보에 대하여 강의함으로써특히 최근 의약품 및 유용활성물질 생산에 이용되는 진균류등에 대해 이해하도록 한다.
응용 생화학(Applied Biochemistry)
생명체는 유기화합물의 복합체로 DNA, 단백질, 저분자 생리활성물질 같은 생체구성유기화합물의 화학적 성질과 이들이 생체에서 관여하는 반응을 분자적 수준에서 이해하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생물화학의 원리를 강의한다. 또한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분야의 최근 연구 결과들을 주제별로 선택하여 소개하고 토론한다.
응용 유전공학(Applied Genetic Engineering)
유전공학적 방법과 응용에 역점을 두고 재조합 단백질의 대량생산, 항원항체반응을 이용한 진단시약의 개발, 백신제제 개발, 유전자조작 식품의 개발 및 검색 방법등을강의한다.
위생화학특론(Advanced Hygienic Chemistry)
미생물, 중금속, 화학물질, 환경오염물질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등을 이해함으로써 의약품, 식품, 및 화장품 산업에 있어서의 위생관리의 원리와 과정을 알도록 한다.
물리화학특론(Advanced Physical Chemistry)
모든 물질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변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기본개념을 습득하고, 변화의가능성과 변화속도에 관한 기본원리와 이론의 탐구를 통해 복잡한 물질변화를 해석할 수 있는 이론적 개념과 현상에 대해 강의한다.
제약통계학특론(Advanced Pharmaceutical Statistics)
제약산업분야 및 각 종 실험의 설계, 그리고 실험 데이터들의 처리를 위한 통계이론을강의하고, 각종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한 처리과정을 이해하도록 한다.
분자약물학특론(Advanced Molecular Pharmacology)
생리활성물질의 작용기전을 분자수준과 세포수준에서 설명하고 이해하도록 함으로서활성물질의 발굴 및 탐색을 위한 기초지식을 배양하도록 한다.
의약품개발론특론(Advanced Pharmaceutical Development)
신약 및 신활성물질을 개발하는 과정 및 그에 따른 허가과정등을 이해함으로서 제약산업 및 화장품, 그리고 나아가 식품산업에서의 생리활성 신물질 및 신제제 개발 실무를 이해하도록 한다.
응용 제약자원학특론(Applied Pharmaceutical Resources)
제약분야에서 약리학적으로 활성을 가지거나 혹은 제약분야에서 부형제등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는 유용물질을 생산하는 각종 천연자원에 대해 강의하고, 이들로부터 천연소재를 탐색하여 개발하는 과정등에 대해 알도록 한다.
분리정제법특론(Advanced Purification of Bioactive Agents)
각종 자원으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을 분리, 정제하는 데 이용되는 여과, 추출, 크로마토그라피등의 방법에 대해 이해하도록 한다.
천연물분석학특론(Advanced Analysis of Natural Products)
천연식물, 동물 및 미생물등으로부터 얻어진 천연물의 구조결정, 확인, 정량등을 위한분석법을 알도록 한다.
기능성식품분석학특론(Advanced Analysis of Functional Foods)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사용되는 각종 성분들에 대한 물리화학적인 특성 규명 및 규명 및 기준 및 시험방법에 대해 알도록 한다.
화장품분석 및 응용(Cosmetic Analysis and Application)
화장품에 대한 품질 검사 및 기능성 평가를 위한 분석법에 대해 이해하고 활용할 수있도록 한다.
노화예방학(Anti-aging technology)
세포의 분화, 노화, 발암 과정과 세포 주기 조절에 관여하는 신호 전달 체계를 중심으로 최신업적들을 소개하며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에 대하여 이해한다
응용 약물전달공학(Applied Drug Delivery System)
새로운 제형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신개념의 약물전달시스템의 원리와 개발현황, 그리고 설계방법 및 제조 방법등에 대해 이해하도록 한다.
제제설계특론(Advanced Formulation Design)
약물의 기능과 효과 및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한 약물설계를 위해 약물의 제제 및 제형의 설계원리와 과정에 필요한 약물의 물리화학적 성질, 약리작용, 제제특성 및 적용방법과 물리약제학적 심화이론을 강의한다.
생물약제학특론(Advanced Biopharmaceutics)
의약품 및 각종 유효활성 함유 제제 설계에 있어서 고려해야 하는 약물과 생체측 인자들간의 관계, 약물의 물성과 체내에서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과정등에 대해서 이해함으로서 생체에 적용되는 제제설계를 위한 기초이론을 습득하도록 한다.
약물동태학특론(Advanced Pharmacokinetics)
생체내에서의 생리활성물질의 거동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속도론적 해석을 할 수 있도록 약물속도론 (pharmacokinetics)를 강의하고, 그 실험법을 알도록 한다.
제약나노기술 및 재료(Pharmaceutical Nanotechnology and Material)
의약품 및 각종 바이오물질에 대한 나노기술 활용에 대해 이해하고, 이에 대한 제조과정등에 대해 알도록 한다.
반응속도론(Reaction Kinetics)
제약산업에서 사용되는 반응기들의 최적설계 및 조작을 위해 반응속도의 정량적 해석에 필요한 심화이론을 이해하고 제품 생산을 위한 반응물의 물리화학적 처리과정의 공정인자들이 반응기 조작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평가하여 효율적인 반응기 설계 및 공정운영에 활용될 수 있는 이론을 강의한다.
이동현상(Transport Phenomena)
제품의 개발과 생산과정의 단위공정 및 조작에서 고려해야 될 운동량, 에너지 및 물질 전달에 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종합하여 해석할 수 있는 지식을 배양하고 실제공정상의 문제들을 해결하고 개선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제약신소재학(Pharmaceutical new materials)
다양한 자연자원으로부터 신약의 원료물질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방법과 발전된실험실적 합성방법 등에 관하여 강의한다.
고급 논문작성법(Advanced Scientific Article Writing)
연구논문을 한글 및 영문으로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강의하고, 실습하도록 함으로서국제화 시대에 부응하는 논문발표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식의약특론(Special Topics in Food & Drug Administration)
식의약생명공학에 관한 기초적인 내용을 소개하며 세미나 및 토의를 통하여 상호간의정보를 교환하고 전공교류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약특허관리학특론(Advanced Pharmaceutical Patent Management)
제약분야에서 지적재산권을 취득하는 방법 및 절차등에 대해 알도록 한다. 그리고 각국가간의 상호 지적재산권보호등에 관하여 이해함으로서 이를 준수할 수 있도록한다.
제약정보관리학(Pharmaceutical information Management)
취득한 제약분야의 모든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류 및 보관 관리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모든 정보를 유효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법을 기르도록 한다.

리뷰 네비게이션